티스토리 뷰
오늘은 제가 오랜 시간 개발 현장에서 느끼고 고민해온 주제, 바로 '개발자의 역할 변화'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과거 코더라는 직업이 존재하던 시절부터 AI가 개발의 판을 뒤흔드는 현재까지, 그리고 앞으로의 미래를 상상하며 풍부한 경험과 생각을 풀어보겠습니다. 🚀 여러분도 이 변화의 흐름 속에서 어떤 인사이트를 얻어갈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과거를 돌아보며: 코더와 프로그래머의 구분
제가 개발을 처음 접했던 시절, 선배들에게 들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옛날에는 코더라는 직업이 따로 있었어." 그때는 코더와 프로그래머가 명확히 구분되던 시절이었습니다. 코더는 프로그래머가 설계한 로직을 받아 단순히 코드를 입력하는 역할이었고, 창의적인 설계나 문제 해결보다는 반복적인 작업에 가까웠습니다. 반면, 프로그래머는 전체 시스템을 설계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였죠.
그런데 툴이 발달하고 IDE가 보편화되면서 코더라는 직업은 점차 사라졌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초보 시절 손으로 일일이 작성했던 반복 코드는 이제 몇 번의 클릭으로 자동 생성됩니다. 20년 전 한 명의 개발자가 6개월 걸려 만들던 기능을 지금은 1~2개월 만에 완성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죠. 이런 변화는 단순히 시간이 단축된 것을 넘어, 개발자의 역할이 더 크고 복잡한 문제 해결로 확장되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AI의 등장: 반복 작업의 종말과 새로운 도전
AI가 본격적으로 개발 현장에 들어오면서 또 한 번 큰 전환점을 맞이했습니다. 제가 최근 프로젝트에서 경험한 사례를 하나 말씀드리자면, 반복적인 CRUD 코드를 작성하던 시간을 AI 도구가 절반 이상 줄여줬습니다. 예전에는 "이런 노가다를 왜 해야 하나" 싶을 때가 많았는데, 이제는 AI가 코드를 생성해주고 저는 그걸 검토하며 더 중요한 설계에 집중할 수 있게 됐습니다. 😊
하지만 AI가 모든 걸 해결해주는 건 아닙니다. 최근 의료 시스템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했을 때, AI는 일반적인 패턴만 제안할 뿐 특수한 요구사항이나 보안 규제를 반영하지 못하더군요. 결국 제가 직접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고 로직을 짜야 했습니다. AI는 훌륭한 도구지만, 특수 분야에서는 여전히 개발자의 손길이 필요하다는 걸 실감했습니다.

2025년을 내다보며: AI와 함께 진화하는 개발자
2025년이 다가오면서 AI가 개발자의 동반자로 자리 잡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요즘 트렌드를 보면, AI는 단순히 코드를 짜는 데서 끝나는 게 아니라 문서화나 테스트 자동화까지 돕고 있습니다. 제가 최근 AI로 API 문서를 작성해본 결과, 잘 정리된 요구사항만 입력하면 퀄리티 높은 초안을 뽑아주더군요. 이걸 바탕으로 수정 작업을 하니 시간도 절약되고 결과물도 깔끔해졌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 고민이 생겼습니다. "AI가 90%를 만들어줬는데, 나머지 10%를 채우지 못하면 어쩌지?" 고객은 완성된 제품을 원하지, 미완성 코드를 기다려주지 않습니다. 결국 AI를 잘 활용하려면 개발자 스스로 기획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워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AI는 도구일 뿐, 그 도구를 다루는 주체는 여전히 우리라는 거죠.
GoosePeak의 결론: AI 시대의 개발자 마인드셋
개발자로서 지난 10년을 돌아보며 느낀 점은, 변화에 적응하는 게 생존의 핵심이라는 겁니다. 코더에서 프로그래머로, 이제는 AI와 협업하는 개발자로 진화하고 있죠. AI가 귀찮은 일을 대신해준다면, 저는 더 창의적인 문제 해결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을 설계하거나 고객의 숨은 니즈를 파악하는 일은 AI가 대신할 수 없는 영역입니다.
결국 중요한 건 "AI를 어떻게 이용해 먹을까?"라는 질문입니다. 저는 앞으로도 GoosePeak에서 이런 고민과 경험을 공유하며, 여러분과 함께 성장하고 싶습니다. 개발자 여러분, 우리 같이 AI라는 멋진 도구를 최대한 활용해서 더 멋진 제품을 만들어보죠! 💪
'Deve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MCP] AI 에이전트와 2025년 트렌드 MCP (2) | 2025.04.15 |
---|---|
[MCP] AI 에이전트의 선행조건. AI 앱스토어의 미래를 여는 Model Context Protocol (1) | 2025.04.14 |
AI 시대 개발 비용, 어떻게 책정해야 할까? (0) | 2025.04.08 |
2025년 1분기 회고 - 구스피크 개발팀 (0) | 2025.03.31 |
카페24 쇼핑몰에 GTM 사용자 추적 설정 (0) | 2025.03.31 |
- Total
- Today
- Yesterday
- anthropic typescript
- 세계ai법
- ai r&d
- 치지직 채팅
- goosepeak
- 개발튜토리얼
- 아프리카TV 채팅
- it비즈니스
- 아프리카tv 댓글
- 유투브 댓글
- 한국ai기본법 개발자
- 미래트렌드
- API
- 유투브 채팅
- 구스피크
- 코딩
- 스트리밍 댓글 API
- MCP
- mcp제작
- 개발팀 회고
- 치지직 댓글
- openmeteo
- 개발자
- modelcontextprotocol
- 2025트렌드
- ai
- aiagent
- 수집
- 스트리밍 채팅 API
- ai에이전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